처음 해설서를 쓸때에는 그냥 숫자와 괄호만을 사용해서 정리하려고 했는데다 쓰고 전체를 보니 눈에 확 들어오지도 않고 지루하더라고요그래서 이번엔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.아무래도 해설서를 쭉 읽기는 힘든데중요내용을 직접 정리해서 올린 것이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
1. 누리과정의 성격
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성격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를 확립하는 출발점이다.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은 ‘2015 개정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’ 성격의 구성체계와 연계하고 유아가의 고유한 특징을 반영하여 ‘유아 중심 및 놀이중심’을 강조하고 있다.
누리과정은 3-5세 유아를 위한 국가수준의 공통 교육과정이다. |
‘공통’이란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를 지칭한다. 또한 유아가 다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누리과정을 운영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기준을 국가가 고시한 것이다. |
가.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, 기관 및 개인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한다. |
*국가 수준의 공통성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공통적이고 일반적 기준을 의미한다. *지역 수준의 다양성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각 시도 교육청이나 시군구청에서 그 지역사회의 상황과 여건을 고려하여 누리과정을 특색있게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. *기관 수준의 다양성은 각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지역 수준 교육과정의 특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각 기관의 철학, 학급(반) 및 학부모의 특성에 따라 누리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. *개인 수준의 다양성은 교사가 담당 학급(반) 유아의 연령 및 개별 특성, 발달 수준 등 개인차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. |
나.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행복을 추구한다. |
*유아가 전인적으로 발달한다는 것은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자주적이고, 창의적이며 감성이 풍부하고 더불어 사는 사람으로 성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 *유아는 자유롭게 놀이할 때 즐겁고 행복한다. |
다. 유아중심과 놀이 중심을 추구한다. |
*‘유아중심’을 추구한다는 것은 누리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건강과 행복, 놀이를 통한 배움의 가치를 최대한 존중하여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. *‘놀이중심’을 추구한다는 것은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 *개정 누리과정은 교사가 계획하여 주도하는 교육과정에서 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하며 배우는 교육과정으로의 변화를 추구한다. |
라. 유아의 자율성과 창의성 신장을 추구한다. |
*유아는 스스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고, 하고 싶은 일을 선택하며 자신의 선택과 결정에 대해 책임지는 경험을 하면서 자율성을 기른다. *유아는 호기심을 가지고 주변세계를 탐색하고 탐구하며 재미있는 상상을 해 나가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놀이를 변형하고 창조하면서 창의성을 기른다. |
마. 유아, 교사, 원장(감), 학부모 및 지역사회가 함께 실현해가는 것을 추구한다. |
*개정 누리과정은 유아와 교사, 유치원과 어린이집, 각 기관이 속한 지역사회와 가정의 협력 및 참여를 통해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이다. |
'유아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9개정누리과정 해설서 정리4 (0) | 2020.06.10 |
---|---|
2019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정리3 (0) | 2020.06.10 |
유치원 임용고시 발달심리론-유아발달의 특성, 프로이드, 에릭슨 (0) | 2020.03.28 |
2019개정누리과정 해설서 정리1 (0) | 2020.03.27 |
유치원 임용고시 사상론-몬테소리, 듀이, 슈타이너, 니일 (0) | 2020.03.26 |
댓글